성모아이 한의원 야뇨증 치료 통계
♦ 대상 : 최근 1년(2013년)간 성모아이 한의원에서 야뇨증으로 치료받은 아동
♦ 분석기준 : 내원시 야뇨증 환아 나이
야뇨증 빈도
치료 호전 정도
♦ 조사 분석 :
강00 5세 빈도: 매일 호전(주1회 정도 가끔) 치료기간:3.3~4.12 / 기-347
권00 11세 빈도:주1회 치료기간:7.7.~10.10 치료됨/ 기-64
김00 12세 빈도:주2회 8.8~9.5 치료됨 / 기-214
김00 8세 빈도 :주3회 치료기간 5.23~7.19 비슷/ 기-177
김00 7세 유분증 동반 빈도:야뇨 매일, 유분 주1회 치료기간:한달 호전없음/기-736
김00 7세 빈도:매일1회이상 치료기간:2011.9.24~ 2012.2.15 치료됨/ 차트번호:기-598
김00 9세 빈도: 주2~3회 치료기간: 2010.1.15~5.9 치료됨/ 기-15
김00 7세 빈도: 매일 경과확인안됨 기-769
김00 12세 호전 챠트없음
김00 6세 빈도: 매일 /치료기간:2.25~4.29 치료됨/ 폐-141
김00 10세 빈도: 월2~3회 / 치료기간 :2011.11.26~20112.7.28 거의안함/ 기-629
김00 7세 빈도: 매일 치료기간:2011.11.19~2012.12.5(3개월) 거의안함/ 기- 628
남00 13세 빈도: 주1회 호전(2주1회) 치료기간:1.19~6.29 / 기-482
도00 8세 빈도:주3회 경과확인안됨
모00 16세 빈도: 매일 치료기간:2010.7.30~2011.7.29 치료됨/ 챠트번호 기-416
박00 7세 빈도:매일 치료기간:2011.7.23~11.21 호전(주2회) / 챠트번호 기-563
박00 10세 빈도:주3~4회 치료기간6.27~8.30 치료됨/ 틱-63
손00 7세 빈도: 주3회 경과확인안됨/ 폐-762
송00 13세 빈도:매일 치료기간: 2.18~3.12 (1회) 치료됨 / 챠트번호 기-495
양00 9세 치료기간:2008.11.3~2009.2.2 치료됨 /챠트번호 기-89
양00 7세 경과확인안됨 챠트번호 기-791
양00 13세 빈도:주2회 치료기간:6.27~10.10 치료됨 / 챠트번호 기-195
오00 10세 신증후군(단백뇨로 신장약 5년 복용) 완치.
오00 8세 빈도: 매일 수회 /치료기간: 2011.2.28~2011.12.13 / 호전없음 챠트번호:기-78
이00 12세빈도: 주1회 / 야뇨 전혀 없음 / 치료 기간: 3/29~ 9/2 / 챠트번호: 기68-1
이00 10세 빈도: 주3~4회 치료기간: 4.9~6.2 호전없음 / 챠트번호: 기-152
이00 6세 빈도: 매일2회 치료기간: 2.28~6.18 치료됨 / 기-509
이00 7세 치료기간: 2010.5.15~8.28 치료됨/ 챠트번호 기-384
이00 10세 유분증 / 빈도:매일 / 치료기간 : 2009.10.10~2013.5.30(5개월)/ 호전/기-261
장00 13세 빈도:매일 치료기간:한달 호전없음 / 기-743
전00 8세 빈도:주3~4일 경과확인안됨/ 기-562
주00 19세 치료기간: 1달 한달간 야뇨없음. 이후 경과확인안됨/ 기-731
차00 12세 빈도 :2~5회/월 치료기간 : 2011.12.27~2012.10.2 치료됨 /챠트번호 기-640
최00 12세 호전 챠트없음
최00 11세 호전(이틀에 1회 ->주1~2회) 챠트없음
최00 6세 빈도: 매일 치료기간:2010.10.4~2012.1.26 치료됨/ 틱-145
최00 13세 치료기간: 1.9~8.14 치료됨/ 기-48
한00 16세 2008.7.12~2009.2.11 치료됨/ 기-81
황00 6세 빈도:주2회 치료기간: 3.26~10.22 치료됨/ 기-526
♦ 결과 분석 :
유병나이
6~8세 : 17명
9~11세 : 9명
12세 이상 : 13명
.bmp)
흔히 야뇨증은 어릴때 잠시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여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본원에 내원한 아동의 나이를 분석해 본 결과
12세 이상이 34%로 상당히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이것은 야뇨증은 100% 자연 치료가 되는 증상이 아니며,
설사 야뇨증상 자체는 자연적으로 개선이 되었더라도 하체(아랫배)의 힘이 약한 요인은 계속 지속될 수 있음 시사하는 결과입니다.
39명 중
경과확인안됨 5명
빈도 감소 7명 20.5%
비슷 (호전없음) 4명 11.7%
치료완료 23명 67.8%
.bmp)
경과가 확인 안 된 아동을 제외하고 치료결과를 통계낸 결과입니다.
5년이상 야뇨증을 앓아온 중증 아동들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완치가 된 아동은 67.8% 였습니다.
빈도가 반이상 줄어든 경우까지 포함한다면 성모아이한의원의 치료 유효율은 88% 이상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아랫배(단전)를 보강하는 치료를 하였으므로
이렇게 치료를 받은 아동들은 키성장까지 함께 이루어졌습니다.
야뇨증은 병이 아니라 하체가 약한 아이의 '신호'이며,
보강하는 치료를 통하여 충분히 치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