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 여자아기이고 본가에갔다와서부터 경끼를하는데 하루에 열두번정도에서 열번정도합니다 첫날에 경대병원에가서 뇌파검사도 했는데 특별한 증세는 없었어요.계속 경기를 해서 주사도 맞고 가루약도받아와서 먹이고는있는데 조금덜하기는 하는데 큰차도는없네요 거기가 경끼치료를 잘한다는소문을 들어서 가보려고 합니다 치료는 몇일마다 가야하는지와 치료비용도 알려주세요 경기가 치료가 되나요??
경기는 뇌혈액순환장애입니다. 원인은 면역저하와 심장기능의 저하와 이상 항진등이 주요한 원인이 됩니다. 또는 소화불량이나 열감기와 병발하기도 합니다. 본원에서 3000명이상의 영아연축을 근본치료한 경험이 있습니다. 현대의학에서는 증상완화를 목적으로 항경련제를 처방하고 있습니다. 항경련제는 증상의 완화를 목적으로 하지만 내성과 심각한 독성이 문제가 됩니다. 본원에서는 15년간 항경련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도 내원해서 치료받고 있습니다. 15년 복용을 했으면 경기가 나아야 할텐데 훨체어를 타고 있고, 언어가 전혀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마지막이라는 심정으로 양방치료 대신에 지방에 있는 본원까지 내원했습니다. 항경련제가 뇌를 발달시켜주는, 발달을 촉진시켜주는, 면역을 증강시켜주는 약이라면 효과가 있을 텐데 그 반대입니다.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근본치료란 아이들을 튼튼하게 만들고, 심장을 강하게 만드는 근본처방이 필요합니다. 치료를 해보면 빠른 경우는 1-3개월만에도 증상이 완화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경기는 언제든지 반복될 수 있으므로 6개월- 1년정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정상 발달하게 되면 완치판정을 내립니다. 본원에서는 거의 90%이상이 완치되고 있습니다. 다만 경기가 나타나고 진행되는 시기에는 1-3개월 진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진행기가 끝나면 항경련제 없이도 본원의 증류한약만으로도 정상발달과 경기가 함께 개선되게 됩니다. 경기는 병이 아니라 신호라고 생각하십시오. 우리 몸이 약해졌다는... 심장이 약해졌다는..... 항경련제에 대해서는 인터넷에서 작용과 부작용에 대해서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