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소아마비 환자들도 진료를 받고 있나요????
뇌신경조직이 장애를 받아 사지가 마비되는 것을 비롯하여 지능의 발육이나 시력 ·청력 등의 장애도 인정되는 병. 뇌성소아마비는 출산 전후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일어나며 흔히 폴리오 또는 소아마비라고도 한다. 뇌성소아마비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첫째, 임신 중의 원인으로 모체가 임신 초기에 바이러스성 질환(풍진 ·인플루엔자 등) 또는 매독에 걸리거나 외상 ·임신중독 ·영양실조 등으로 태생기(胎生期)에 뇌신경장애가 생긴 것이라고 여겼으나 근년에는 부모의 혈액형의 부적합에서 오는 중증핵황달(重症核黃疸)이 주목을 받게 됨으로써 Rh인자(因子)가 유명해졌다. 둘째, 출산시의 원인으로 난산, 특히 겸자분만(鉗子分娩)과 추락분만(墜落分娩)시 외상으로 인한 뇌조직 내출혈, 가사분만(假死分娩)시 뇌의 산소결핍으로 오는 장애, 뇌의 발육이 불충분한 조산아의 뇌출혈 장애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출산 후의 원인으로 고열성 질환이나 각종 뇌염(腦炎) 또는 수막염(髓膜炎) 등에 의한 것, 외상에 의한 뇌신경장애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의 원인 중에는 출산과 관련되는 것이 가장 많다. 위의 내용은 양방에서 본 내용입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양방에서는 치료라는 개념은 없고 단지 재활치료로 물리치료나 언어치료처럼 간접적인 특수치료만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보행이 될려면 다리에 힘이 생겨야하고 또한 걸을 수 있게 경락을 자극해야만 합니다. 또한 뇌성소아미비 아이들은 모두 허약아들입니다. 허약한 장기의 보강없이는 절대 하체에 힘이 생기지 않습니다. 따라서 치료를 받은 아이들은 눈에 띄게 면역력이 증강하여 잦은감기 겁많은 증상 대소변장애등의 내부장기의 허약증이 없어지게 되고 혈색이 좋아지고 다리에 힘이 생겨서 누워만 있는 아이들은 앉을 수 있게 되고 겨우 서는 아이들은 걸을 수 있게 되는것입니다. 이렇듯 허약아들에게 면역증강을 통해서 다리에 힘을 길러주는것이야 말로 유일한 희망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적은 항상 가까이에 있습니다. 성모아이한의원
